본문 바로가기
【 오늘의 정보 】/영어

조동사(can, will, may, should, must) 파헤치기

by 오늘의 맛 2023. 12. 15.
반응형

 

조동사란?

 

- be동사나 일반동사 앞에 쓰여 특정한 의미를 더해주는 동사예요.

- 주어의 수나 인칭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 않아요. (*have to 제외)

- 조동사 뒤에는 '반드시' 동사원형이 옵니다.

1. 조동사 " can "

 

◈ 조동사 can의 쓰임

능력
~할 수 있다
I can swim.
요청
~해줄 수 있니?, ~해 주겠니?
Can you come to my concert?
Can you close the window?
허가
~해도 된다
You can watch TV now.

 

*허락(허가)을 나타내는 can은 조동사 may로 바꿔 쓸 수 있으며,

좀 더 공손한 표현으로 쓸 때는 can 대신 could(can의  과거형)를 씁니다.

 

(예시)

You can(may) use my umbrella.

Could I drink some water?

 

 

◈ 긍정문

 

형태 : 주어 + can + 동사원형 ~. (=주어 + be able to + 동사원형 ~.)

(*be able to가 있는 이유 : 조동사는 2개 이상 연달아 쓸 수 없다는 특징이 있어요.

따라서 조동사 can은 다른 조동사와 함께 사용할 수 없지만, be able to는 조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can을 대신해서 다른 조동사와 함께 사용이 가능하답니다.)

 

(의미)

능력 : ~할 수 있다

요청 : ~해줄 수 있니?, ~해 주겠니?

허가 : ~해도 된다

(예시)

능력 : Tom can speak English.

요청 : Can you open the door, please?

허가 : You can go out and play now.

 

◈ 부정문

 

형태 : 주어 + cannot(축약형 : can't) + 동사원형 ~. (=주어 + be동사 not able to + 동사원형 ~.)

(*not은 항상 조동사 뒤에 붙어요~) (*not은 항상 be동사 뒤에 붙어요~)

 

(의미)

능력 : ~할 수 없다

요청 : ~해줄 수 없니?

금지 : ~하면 안 된다, ~해서는 안 된다.

(예시)

능력 : Tom cannot(can't) speak English.

요청 : Can't you open the door first?

허가 : You cannot(can't) go out and play now.

의문문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어와 can/can't의 순서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단,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 앞에 'cannot의 축약형 (can't)'이 꼭 와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형태 : Can / Can't + 주어 + 동사원형 ~?

 

(의미) 

능력 : ~할 수 있니? / ~할 수 없니?

요청 : ~해줄 수 있니?, ~해 주겠니? / ~해줄 수 없니?

허가 : ~해도 되니? / ~하면 안 되니?, ~해서는 안 되니?

(예시)

능력 : Can / Can't Tom speak English?

요청 : Can / Can't you open the door first?

허가 : Can / Can't I go out and play now?


2. 조동사 " may "

 

긍정문

 

주어 + may + 동사원형 ~.

 

(의미)

- 약한 추측 : ~일 수도 있다, ~일지도 모른다(→ 현재나 미래의 일을 '약하게' 추측할 때 씁니다.)

- 허가 : ~해도 된다, ~해도 좋다 (허락의 may는 can과 바꿔쓸 수 있어요.)

(예시)

Take this umbrella. It may rain later. (약한 추측)

She may be able to meet you. (약한 추측)

He may be sick. He looks pale. (약한 추측)

You may(can) take a picture here. (허가)

You may(can) sit here. (허가)

 

 

부정문

 

주어 + may not + 동사원형 ~. (*may와 not은 줄여쓰지 않아요.)

 

(의미)

- 약한 추측 :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가 아닐지도 모른다

- 금지 : ~하면 안 된다, ~해서는 안 된다

(예시)

She may not be able to meet you. (약한 추측)

He may not be sick. He looks like faking illness. (약한 추측)

You may not(can't) take a picture here. (금지)

You may not(can't) sit here. (금지)

의문문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어와 may의 순서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의미) 

- 약한 추측 : *추측의 의미일 때는 의문문으로 잘 사용하지 않아요

- 허가 : ~해도 될까? (상대방에게 요청하거나 허락을 구할 때 쓰는 공손한 표현이에요.)

*더 공손하게 허락을 요청할 때에는 뒤에 please를 붙이거나

might(may의 과거형)를 이용해 Might I~?라고 말해요.

(예시)

May he play the guitar once, please?

May(Can) I go to the restroom?

May(Can) I borrow a pen?

Might I use this computer?


3. 조동사 " must "

 

◈ 긍정문

 

주어 + must + 동사원형 ~.

 

(의미)

- 강한 추측 : ~임에 틀림없다(→ 현재나 미래의 일을 '강하게' 추측할 때 씁니다.)

- 강한 의무(해야 할 의무) · 강한 권유(강제적) : (꼭) ~해야 한다.

(예시)

He must be late again. (강한 추측)

There must be some mistakes. (강한 추측)

You must wear a mask. (강한 의무·권유)

We must follow the traffic rules. (강한 의무·권유)

She must finish her work today. (강한 의무·권유)

 

◈ 부정문

 

주어 + must not(축약형 : mustn't) + 동사원형 ~.

 

(의미)

- 강한 추측 : ~아님에 틀림없다, ~일리가 없다

- 강한 의무(해야 할 의무) · 강한 권유(강제적) : (꼭) ~하면 안 된다.

(예시)

She must not(musn't) be rich. She is lying. (강한 추측)

They must not(musn't) know that many people. (강한 추측)

You must not(musn't) use those bad words. (강한 의무·권유)

You must not(musn't) scream at me. (강한 의무·권유)

We must not(musn't) download movies illegally. (강한 의무·권유)

의문문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어와 must/mustn't의 순서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단,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 앞에 'must+not의 축약형 (mustn't)'이 꼭 와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Must / Mustn't + 주어 + 동사원형 ~?

 

(의미)

- 강한 추측 : *추측의 의미일 때는 의문문으로 잘 사용하지 않아요

- 강한 의무(해야 할 의무) · 강한 권유(강제적) : (꼭) ~해야 하니? / (꼭) ~하면 안 되니?

(예시)

Must I wear this helmet?

Must I go home now?

Mustn't we run in the hallway?

Mustn't we have this gem?

*일상생활에서 must는 너무 강제적·강압적이기 때문에 의문문으로 잘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have to를 이용하여 의문문을 써요.


 4. 조동사 " have to "

 

긍정문

 

- I / You / We / They + have to + 동사원형 ~.

- He / She / It (3인칭 단수) + has to + 동사원형 ~.

 

(의미)

강한 의무 · 정황상의 의무 · 필요 : ~해야 한다

(→ 어떤 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할 때 쓰는 표현이에요.)

(예시)

I have to complete this assignment by Friday.

We have to be quiet in the library.

He has to come here.

She has to get up early tomorrow morning.

 부정문

 

- I / You / We / They + don't + have to + 동사원형 ~.

- He / She / It (3인칭 단수) + doesn't + have to + 동사원형 ~.

(*'주어 + don't / doesn't + need to + 동사원형 ~. ', '주어 + need not + 동사원형 ~.' 으로 바꿔 쓸 수 있어요.)

 

(의미)

불필요 : ~할 필요가 없다, ~하지 않아도 된다

(→ 선택권을 주고, 하지 않게끔 권유·설득시키는 뉘앙스에요.)

(예시)

I don't have to tell him the truth.

They don't have to do it immediately.

She doesn't have to go to school tomorrow.

He doesn't have to worry about the problem anymore.

의문문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어와 Do(n't)/Does(n't)의 순서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참 쉽죠잉~?)

(단,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 앞에 'Do/Does not의 축약형 (Don't, Doesn't)'이 꼭 와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 Do / Don't + I / you / we / they + have to + 동사원형 ~?

- Does / Doesn't + he / she / it (3인칭 단수) + have to + 동사원형 ~?

 

(의미)

불필요 : ~해야 하니? / ~할 필요 없니?, ~하지 않아도 되니?

(예시)

Do / Don't I have to tell him the truth?

Do / Don't we have to be perfect?

Does / Doesn't she have to run?

Does / Doesn't he have to worry about the proble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