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오늘의 정보 】/영어

과거완료/대과거(had p.p) 구문 파헤치기

by 오늘의 맛 2023. 11. 28.
반응형

 

과거완료란?

말하는 시점(과거)보다 더 이전의 일을 had p.p로 쓰는것

 

우리가 이미 과거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면,

말하는 시점(과거)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을 말할때 과거완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일(상황)이나 행위가 대과거(더 먼 과거)부터 과거까지 진행되어 '완료' 되었다는 것에 초점을 둡니다.

 

과거완료는 두 동작 중 어느 것이 먼저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시제입니다.

주로 한 동작이 다른 동작보다 먼저 발생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완료 : 더 먼 과거(대과거)에 시작된 일이 그 후의 과거에 완료되었을 때

- 긍정문 : (대과거부터 시작된 일을 과거까지) ~했었다.

- 부정문 : (대과거부터 시작된 일을 과거까지) ~하지 못했었다.

- 의문문 : (대과거부터 시작된 일을 과거까지) 했었니? / ~하지 못했었니?

 

After Tebby had finished her work(대과거), She went to lunch(과거).

(Tebby는 그녀의 일을 마치고 점심을 먹으러 갔었다.)

 

The meeting had already started(대과거) by the time I arrived(과거).

(내가 도착했을 때 회의는 이미 시작되어 있었다.)

 

had already finished the work(대과거) when you asked me(과거).

(당신이 나에게 물어봤을 때, 나는 이미 그 일을 끝마친 뒤였다.)


경험 : 더 먼 과거(대과거)에서부터 그 후의 과거까지의 경험을 말할 때

- 긍정문 : (대과거에서 과거까지) ~해본 적이 있었다.

- 부정문 : (대과거에서 과거까지) ~해본 적이 없었다.

- 의문문 : (대과거에서 과거까지) ~해본 적이 있었니? / ~해본 적이 없었니?

 

When I met her(과거), I had never been in a serious relationship(대과거).

 

had never heard of her(대과거) until we talked about her(과거).

 

She had never been abroad(대과거) before she went to Canada(과거).

 

Hadn't you ever been to this big city? Why are you surprised?

No, I had never been to this big city(대과거) before I came to New York(과거).

(*부정문에서 had 뒤에 never도 사용 가능해요.)


계속 : 더 먼 과거(대과거)의 일이 그 후의 과거까지 계속될 때

- 긍정문 : (대과거에서 과거까지) 계속 ~해왔었다(하고 있었다).

- 부정문 : (대과거에서 과거까지) 계속 ~해오지 않았었다(안 하고 있었다).

- 의문문 : (대과거에서 과거까지) 계속 ~해왔었니? / 계속 ~안 해왔었니(안 하고 있었니)?

 

Had the old man been ill? - Yes, The old man had been ill for two weeks(대과거) until he died(과거).

 

Mr. Kim had thought English for two years(대과거) when I met him(과거).

 

had stayed there for hours(대과거) when the accident happened(과거).


결과 : 더 먼 과거(대과거)에 일어난 일의 결과가 그 후의 과거까지 영향을 미칠 때

- 긍정문 : ~해 버렸었다. (대과거에 ~해서 그 결과 과거에 ~한 상태)

- 부정문 : ~해 버리지 않았었다 (대과거에 ~하지 않아서 그 결과 과거에 ~하지 않은 상태)

- 의문문 : ~해 버렸었니? / ~해 버리지 않았었니?

 

They hadn't yet received a response from her.

(→ 대과거에 대답을 받지 못했고, 그 결과 과거에서도 대답을 받지 못한 상황.)

 

He had lost his key and couldn't open the door.

(→ 먼저 키를 잃어버린 후(대과거) 그 결과 문을 열 수 없는 상황(과거).)

 

had lost my wallet when I left the train.

(→ 먼저 지갑을 잃어버린 후(대과거) 기차에서 내릴 때 지갑을 잃어버린 걸 알아챈 상황(과거))


(추가 예시)

 

By the time I arrived at the party, they had already eaten dinner. (파티에 도착할 때, 그들은 이미 저녁을 먹었다.)

어떤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다른 사건이 완료된 경우:

 

She had studied French before she moved to Paris. (그녀는 파리로 이사하기 전에 프랑스어를 공부했다.)

과거의 특정 지점에서의 완료된 동작:

 

I had never seen such a beautiful sunset before that day. (나는 그 날까지는 그런 아름다운 일몰을 본 적이 없었다.)

If문에서 주어진 조건절에서 먼저 발생한 동작:

 

If I had known it was your birthday, I would have bought a gift. (내가 그게 네 생일이었다면, 선물을 샀을 텐데.)

과거완료는 주로 과거 동안에 발생한 완료된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시간적인 선후관계를 나타낼 때 쓰이며, 주변 문맥에 따라 어떤 동작이 먼저 발생했는지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과거 완료 진행 (had been -ing)

 

~하고 있는 중이었다

 

더 먼 과거(대과거)에 시작한 일(상황)이나 행위가 그 후의 과거까지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어떤 일(상황)이나 행위가 대과거(더 먼 과거)부터 과거까지 '진행중' 인 것에 초점을 둡니다.

 

과거 특정한 때에 계속 진행중이었던 일은 과거완료 진행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과거의 어떤 특정 지점까지 계속된 동작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특정 시점까지 지속되어 왔던 동작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He was tired because he had been working all day.

 

They realized they had been talking for hours.

 

She had been living in New York for five years before she moved to London.


과거 완료 진행 부정문 (had not been -ing)

 

~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부정문은 특정 시점까지 어떤 동작이 일어나지 않았거나 계속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He was not tired because he had not been working all day.

 

She had not been living in New York for five years before she moved to London.

 

They realized they had not been talking for hours.


과거완료 진행 의문문 (had 주어 been -ing?)

 

~하고 있는 중이었니?

 

Had they been waiting for us when we finally arrived?

 

Had you been studying for the exam before you realized it was canceled?

 

Had she been living in that city for many years before she decided to mov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