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오늘의 정보 】/영어

미래완료(will have p.p) 파헤치기

by 오늘의 맛 2023. 11. 28.
반응형

 

미래완료란?

 

과거나 현재의 한 시점에서 시작된 일(상황)이나 행위가 미래까지 이어질 때(미래까지 영향을 미칠 때) &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해 추측·예측을 할 때 사용해요.

 

미래완료는 시작 시점은 알려주지 않고, 끝내는 시점만 알려주기 때문에 과거, 현재, 미래의 어느 한 시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에요. (→ 미래완료는 과거완료, 현재완료보다 훨씬 광범위해요.)

 

어떤 일(상황)이나 행위가 과거나 현재부터 미래까지 진행되어 '완료' 되었다는 것에 초점을 둡니다.

 

지금 일어나는 일이 미래까지 계속되어 미래의 어떤 때까지

(계속) ~한 것이 됩니다.

(경험) ~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한 셈이 됩니다.

(완료) ~하게 될 것입니다.

(결과) ~하게 되어서 (어떤 결과를) 가질 것입니다.

 

· 긍정문

주어 + will have + 과거분사 ~.

주어 + be going to have + 과거분사 ~.

·  부정문 

주어 + will not(won't) have + 과거분사 ~.

주어 + be동사 not going to have + 과거분사 ~.

 

·  의문문

Will / Won't + 주어 + have + 과거분사 ~?

Be동사 / Be동사 not + 주어 + going to have + 과거분사 ~?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어와 will / won't / be동사 / be동사 not의 순서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단,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 앞에 'will not의 축약형(won't) / be동사+not의 축약형'이 꼭 와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 완료 : 과거/현재에 시작된 일이 미래의 어느(특정) 시점에서 완료되었을 때 사용해요.

- 긍정문 : (과거/현재에 시작한 일을 미래에) (다) ~하게 될 것이다(~할 것이다)

- 부정문 : (과거/현재에 시작한 일을 미래에) (다) ~하지 않게 될 것이다(~하지 않을 것이다)

- 의문문 : (과거/현재에 시작한 일을 미래에) (다) ~하게 될 것이니(~할 것이니)? /

(다) ~하지 않게 될 것이니(~하지 않을 것이니)?

· 경험 : 과거/현재에서부터 미래의 어느(특정) 시점까지에서의 경험을 말할 때 사용해요.

- 긍정문 : (과거/현재부터 미래까지) ~을 해본 것이 될 것이다, ~해 보는 셈이 될 것이다

- 부정문 : (과거/현재부터 미래까지) ~을 해본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다, ~해 보는 셈이 되지 않을 것이다

- 의문문 : (과거/현재부터 미래까지) ~을 해본 것이 될 것이니?, ~해 보는 셈이 될 것이니? /

~을 해본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니?, ~해 보는 셈이 되지 않을 것이니?

· 계속 : 과거/현재의 일이 미래의 어느(특정) 시점까지 계속될 때 사용해요.

- 긍정문 : (과거/현재부터 미래까지) 계속 ~을 해오고 있을 것이다.(계속 ~한 것이 될 것이다.)

- 부정문 : (과거/현재부터 미래까지) 계속 ~을 해오고 있지 않을 것이다.(계속 ~한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다.)

- 의문문 : (과거/현재부터 미래까지) 계속 ~을 해오고 있을 것이니?(계속 ~한 것이 될 것이니?) /

계속 ~을 해오고 있지 않을 것이니?(계속 ~한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니?)

· 결과 : 과거/현재에 일어난 일의 결과가 미래의 어느(특정) 시점까지 영향을 미칠 때 사용해요.

- 긍정문 : ~할 것이다. (과거/현재에 ~해서 그 결과 미래에 ~할 상태)

- 부정문 : ~하지 않을 것이다. (과거/현재에 ~해서 그 결과 미래에 ~하지 않을 상태)

- 의문문 : ~할 것이니? / ~하지 않을 것이니?

(예시)

<완료>

Will / Won't you have read all the reports by the end of the day?

(하루가 끝날 때까지 모든 보고서를 읽게 될 것이니?/읽지 않을 것이니?)

 

By the time you get back, we'll not have had dinner, for we will have waited you until you arrive.

(우리는 너가 돌아올 때까지 저녁을 먹지 않을거야. 우리는 너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릴 거니까.)

 

I think we will not have finished dinner until the English class starts.

(나는 우리가 그 영어 수업이 시작할 때까지 저녁을 못 마칠 것 같아.)

<경험>

I will have been to Australia twice if I visit there this summer.

 

When I meet him once again, I'm going to have met him twice.

 

He will have seen the drama three times if he sees it again.

<계속>

On thier next wedding anniversary, they will have been married 50 years.

 

In June, I'm going to have been unemployed for four years.

(6월이 되면, 나는 4년 동안 실업자가 되어 있을 것이다.)

Will / Won't she have been in hospital for two weeks by Monday.

(그녀는 월요일까지 2주동안 입원해 있게 되는 것이니?/입원해 있게 되는 것이 아니니?)

<결과>

If I get to the station in time, the train will not have left. So, I won't have to waiting for another train.

 

Our daughter will have grown up when you get out of prison.

 

Is / Isn't he going to have bought a house by that time.

  미래완료는 과거의 일을 얘기할 때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현재 알고 있는 것을 기반으로 예측·추측하여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현재형'입니다.
  (예) He'll definitely have got to the airport by now. It only takes one hour.
  (그는 아마 분명히 지금쯤 공항에 도착했을 거에요. 한 시간 밖에 안 걸리거든요.)
  → 그가 공항에 도착한 건 현재 기준으로 과거인데, 확실히 도착했는지는 모르니까 미래형으로 추측
  There's no point in calling Judy. she will have left by now.
  (주디를 불러도 소용없어. 그녀는 지금쯤이면 떠났을거야.)
  → 그녀가 떠난 건 현재 기준으로 과거인데, 확실히 떠났는지는 모르니까 미래형으로 추측

※ 이런 부사구와 주로 함께 쓰입니다.

By... (by tomorrow, by next week, by the end of the year...)

내일이면, 다음 주면, 내년 말이면

By this time...(by this time tomorrow, by this time next week...)

내일 이 맘 때면, 다음주 이 맘 때면

In...(in 2 weeks, in 5 years...)

2주 후면, 5년 후면

When/Before

~할 때면, ~하기 전쯤이면


미래완료 진행

 

과거나 현재에서 시작된 일(상황)이나 행위가 미래의 어떤(특정) 시점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다의미를 강조할 때 사용해요.

어떤 일(상황)이나 행위가 과거나 현재부터 미래까지 '진행중'인 것에 초점을 둡니다.

· 긍정문

 주어 + will have been + 동사원형-ing ~.

 주어 + be going to have been + 동사원형-ing ~.

 : (과거/현재에서 미래까지) ~하는 중일 것이다.

 

  been이 나타난 이유
  진행형 be + V-ing
  미래완료 will + have + p.p
  ------------------------------------------------------
  미래완료 진행 will + have + been + V-ing

(예시)

Nora is going to have been touring across Asia for three weeks.

 

I'll have been continuing bachelor's degree in 2025.

 

Karen will win the competition. Because I believe she will have been practicing hard for several months.

·  부정문

 주어 + will not(won't) have been + 동사원형-ing ~.

 주어 + be동사 not going to have been + 동사원형-ing ~.

 : (과거/현재에서 미래까지) ~하지 않는 중일 것이다

(예시)

She will not have been living in there anymore next year.

 

I'm not going to have been sleeping until two in the morning when you call me. So, you can contact me by then.

 

She'll not have been waiting for more than 2hours when her plane finally arrive.

· 의문문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어와 will / won't / be동사 / be동사 not의 순서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단,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 앞에 'will not의 축약형(won't) / be동사+not의 축약형'이 꼭 와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Will / Won't + 주어 + have been + 동사원형-ing ~?

 Be동사 / Be동사 not + 주어 + going to have been + 동사원형-ing ~?

 : (과거/현재에서 미래까지) ~하는 중일 것이니? / ~하지 않을 중일 것이니?

(예시)

How long will Ellie have been studying economics?

(Ellie는 경제학을 얼마나 오랫동안 공부를 하는 중일걸까?)

 

Will / Won't you have been working here for 15 years next week?

(다음 주가 되면 여기서 15년 동안 일하게 되는 중이 될 것인가요?)

 

Is / Isn't he have been gone summer vacation with his friends?

반응형